전체 글 910

중년의 뇌

일반적으로 중년이 되면 뇌의 기능 전반이 저하되는 것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최근의 뇌과학은 나이를 제대로 먹어가는 중년의 멋진 경험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를 속속 내놓고 있습니다. 1. 편도(amygdala)라 부리는 곳은 뇌 안 깊숙한 곳의 조그만 조각이다. 이것은 뇌의 원시적인 부분인데 이것은 미쳐 날뛰는 사자로부터 멀리 떼어놓기 위해 설치된 오래된 경보 장치이다. 그런에 이 부분이 중년의 뇌에 대단한 의미를 갖고 있다. 2. 나이가 들면서 놀라울 만큼 편도는 부정적인 것들에 덜 반응한다. 나이가 들면서 우리의 편도는 부정적인 자극에 점점 덜 반응한다. 그런데 편도라는 것이 애초에 부정적인 것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 발견은 의외의 발견이라 할 수 있다. 3. 중년이 되면..

Diary/Diary 2011.02.07

마인드 바이러스

타인의 의도된 혹은 의도 되지 않은 주장이나 유행이 거센 이 시대에 자신, 가족 그리고 사회를 어떻게 보호해야 하는지를 다룬 책입니다. 저자는 "친구 따라 강남가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말합니다. 1. 밈 과학을 이해하는 사람들은 인생을 살아가는 데 훨씬 유리할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남의 수작에 놀아나거나 이용당하지 않을 수 있다. 마음의 작용 원리를 제대로 이해한다면, 갈수록 교묘해지는 조직의 세계를 좀 더 잘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 2. 밈 과학은 '마인드 바이러스'의 존재를 드러냈지만, 그래서 우리가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주지 않는다. 3. 마인드 바이러스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항상 우리와 함께 있었다. 그것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변화해왔다. 마인드 바이러스는 사람들 사이에 ..

Diary/Diary 2011.01.31

독설가를 다루는 법

직장에서 혹은 트위터에서 독설가를 만날 때가 있습니다. 이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까요? #1. 독설가는 입만 열었다 하면 당신을 질책하고, 비판하고, 비웃으면서 당신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힌다. 즉 독설가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상대를 거칠게 비판하는 감정적인 사람이다. #2. 문제는 독설가 자신이 상대의 자존심을 짓밟는 끔찍한 짓을 하고 있다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한다는 데 있다. #3. 독설가는 대부분 다음과 같은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다 1)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상대는 인격과 삶의 방식이 잘못됐다. 때문에 바꿔야 한다. 2) 상대의 결점과 잘못을 비판하면 바꿀 수 있다. 때문에 비판해야 한다. #4. 독설가(감정적인 사람) vs 이성적인 사람 -상대의 의견과 인격을 구분하지 못한다 / 상대의 의견과..

Diary/Diary 2011.01.26

CEO의 촌철살인

성공한 경영자는 전쟁터에서 살아남은 자들입니다. 그래서 그들의 한 마디에는 묵직한 무게감이 실립니다. 1. 비즈니스 자본이 부족하다고 말하지 마라. 비전이 바로 자본이다 -샘 월튼(월마트 창업자) 2. 나는 아직도 출근 첫 날처럼 일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그대로 갖고 있다. -안젤라 아렌트(버버리 CEO) 3. 나는 직원들이 시간 낭비하는 모습을 볼 때마다 즉시 그들을 불러 조용히 부탁한다. 시간은 가장 큰 자원이다. 한 번 가버리면 영원히 다시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윌리엄 P. 로더(에스티 로더 회장) 4. 판매는 고객을 당신 뜻대로 인도하는 부드러운 기술이다 -레이 크록(맥도널드 창업자) 5.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 당신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고든 M.닉슨(캐나다 왕립은행 ..

Diary/Diary 2011.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