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10

의미를 찾아서: 세가지 인식

찰스 핸디 씨의 글은 언제 읽어도 생각할 소재를 줍니다.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찰스 핸디 씨의 글을 참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지속성, 연결 그리고 방향. 세가지를 찾을 수 있다면 우리는 늘 씩씩하게 삶을 개척해 갈 수 있습니다. 1. 나는 내가 유일한 존재라는 사실을 스스로에게 일깨우고자 책상 위에 하얀 돌을 놓아두었다. 실제로는 목적이 없더라도, 그리하여 모든 것이 한낱 과학의 장난일지라도 우리는 믿어야 한다. 존재에는 목적이 있다고. 그런 믿음이 없으면 뭔가를 해야 할 이유도, 믿어야 할 이유도, 변화시켜야 할 이유도 없으리라. 2. 우리의 행동과 존재에 대한 목적과 이유를 찾으려면 다음 세 가지의 감각에 의존해야 한다. 지속성, 연결, 방향, 이런 감각이 없으면 나침판도 키도 없이..

Diary/Diary 2009.06.14

불황과 호황, 제대로 보기

불황과 호황을 실체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면, 어려운 시간이 왔을 때 지나치게 호들갑을 떨지 않을 것입니다. 이번 금융위기가 왔을 때 '자본주의가 끝났다'라고 할 정도로 소란을 피웠던 우리 사회를 생각하면 오늘 소개하는 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1630년대 중반 네덜란드는 거의 제정신이 아니었다. 네덜란드 사람들은 대체로 합리적이고 독창적인데다 냉혹한 장사꾼 기질을 갖추고 있었지만, 튤립을 둘러싼 투기광풍에 너 나 할 것 없이 휘말려버리고 말았다. 그들은 귀족과 어부, 농부와 상인을 구분하지 않고 미친 듯이 튤립 알뿌리 투기에 나섰다. 당시 중앙유럽에서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던 튤립은 다채롭고 화려한 색깔에다 희소성이라는 가치가 더해져 순식간에 부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그리고 가격이 한번 치솟기..

Diary/Diary 2009.06.14

군중심리를 읽는 법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이나 행동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심리학자들이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표성 효과(representativeness effect): 사람들은 자기 눈에 보이는 동향이 계속될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2. 허구적 일치성 효과(false consensus effect):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과 같은 태도를 가진 사람들이 실제로 많다고 생각한다. 3. 후회 이론(regret theory): 사람들은 자신이 실수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 행동을 피한다. 4. 닻내림/프레이밍 효과(anchoring/framing): 사람들의 결정은 정답인 듯한 의견을 제공받으면 그것에 영향을 받는다. 5. 동화오류(assimilation error): 사..

Diary/Diary 2009.06.14

북한의 인기직업은?

38년 동안 북한에서 러시아어 교수로 활동하였던 김현식 교수의 북한 이야기2를 보내드립니다. 북한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북한에서 가장 선망 받는 직업은 무엇일까. 두말할 것도 없이 무역일꾼과 외교관이다. 무역일꾼과 외교관은 북한 사람들이 평생 만질 수 없는 달러는 만지고 그 달러로 외화상점에서 물건을 살 수 있다. 외화상점은 평양시를 비롯해서 도 소재지마다 여러 곳이 있지만 평민들은 들어갈 수도 없다. 2. 그렇지만 무역일꾼과 외교관이 부럽다고 해서 아무나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무역일꾼이다 외교관이 될 수 있는 길은 외골수로 한정되어 있다. 그런 직업을 가지려면 6년제 외국어학교를 마친 다음 평양외국어대학이나 김일성대학의 외국어학부를 졸업해야 한다. 그런데 6년제 외국어학..

Diary/Diary 2009.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