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ry 786

몰입과 헌신하기

몰입과 헌신은 언제 일어나게 되는 가? 자신이 수행하는 일에 대해 '의미'(meaning)을 부여할 수 있을 때입니다. 마찬가지로 조직의 구성원들 역시 자신이 행하는 일이나 프로젝트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때 몰입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어떻게 긍정의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1. 일찍부터 경영이론가들은 리더의 가장 중요한 책임은 그들이 책임지고 있는 구성원들의 조직 생활에 목적과 의미를 불어넣어 주는 것이라 믿어왔다. 이들 경영이론가들은 단순히 경제적 성과를 내고, 생산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며,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 대신에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의 일에서 의미를 느끼게 해주는 것을 경영자의 최우선 임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불행히도 지난 수십 년간 의미를 심어주고 고양하는 리더의 역할은 덜 중시..

Diary/Diary 2009.03.21

공공기관 블로그 운영에 대한 제언 -2

4. 혼자 보다는 팀블로그를 공무원 입장에서 어느날 특정인에게 기관의 블로그 운영을 맡긴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루종일 블로그만 잘 운영하라고 할 기관도 없겠지만, 블로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해당 공무원의 경우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기분일 것이다. 블로그 운영, 그것도 기관의 대표 블로그 운영을 맡으라면 긴장되거나 부담되지 않을 공무원은 없을 것이다. 아마도 홍보부서나 전산부서 담당자가 맡을 확율이 높을 것이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별도 인력을 채용할 정도가 아니라면 분명 내부인력일텐데 혼자 운영하도록 던져놓지 않는 것이 좋다. 혼자라면 분명 블로그 운영 외에도 자신의 업무까지 같이 처리해야 하는 경우의 공무원일 것이다. 블로그만 운영하라고 해도 아마 기겁을 할 지경인데, 업무와 블로그 운영을..

Diary/Diary 2009.03.17

공공기관 블로그 운영에 대한 제언 -1

요즘 공공기관의 블로그 개설이 하나의 유행처럼 번지고 있어서, 중앙정부 각 부처의 블로그 뿐만 아니라 이제는 지방자치단체까지 블로그 개설바람이 부는 모양이다. 여기에 국회의원들의 블로그까지 더해서 공공기관의 블로그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중앙정부가 운영하는 블로그는 나름 블로그를 전문적으로 다루어본 업체를 동원하거나, 컨설팅을 받아서 비교적 쉽게 적응하는 모습들을 보이고 있기도 하지만, 여전히 부족한 부분들이 많이 보인다. 중앙정부에 비해 비교적 블로그에 대해 관심이 적었던 지방자치단체들은 이제 블로그 개설을 앞두고 있거나 시험적인 운영에 들어간 곳들이 많다. 따라서 아직까지 모범적인 운영사례가 보이지 않고 있다. 몇몇 지자체의 블로그를 둘러보다가 느낀 점들을 정리하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을 것 ..

Diary/Diary 2009.03.17

달라이 라마의 조언: 리더의 여섯가지 수행

달라이 라마는 사업세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달라이 라마가 한 경영컨설턴트와 함께 흥미를 끄는 책을 펴냈습니다. 불가에 몸담고 있는 분의 이야기라서 현실에 꼭 맞을 수는 없지만 그러기에 더더욱 참조할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눔, 도덕적 원칙 지키기, 인내, 열정 다하기, 집중, 참지혜 깨닫기로 이루어진 이 수행법을 육바라밀이라고 한다. (불교용어로는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에 해당한다). 이는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도움이 되는 수행법이다. 하지만 특히 리더는 육바라밀을 실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다. #1. 나눔 비즈니스 세계에서 비리가 벌어지는 가장 큰 원인은 권력을 쥔 사람이 돈과 특권을 탐하기 때문이다. 탐욕은 나눔의 반대 말이..

Diary/Diary 2009.03.15

3가지 메가트렌드의 의미

유럽 최고의 미래학자인 마티아스 호르크스의 조언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짐작하고 있는 일이긴 하지만 행간에 실린 뜻을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새로운 노동의 등장 내일의 노동 세계에서 가치 창출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이다. 다시 말해 지식을 실생활에 얼마나 다채롭게 적용하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는 것이다. 지식 경제에서는 '창의력'이 생산성을 결정한다.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는 글로벌 시장에서는 혁신을 통한 개발이 필수불가결하다. "현대 경제에서는 이제 더 많이 요리하는 게 아니라 더 좋은 레시피를 찾는 것이 관건이다!"라고 할 수 있다. 2. 앞으로는 점점 더 개인과 개인의 상황을 중심으로 가치가 창출될 것이다. 그에 따라 낡은 시대의 소비경제는 '지원경제'(..

Diary/Diary 2009.03.14

네트워크를 점유하는 바이러스를 확인하자

1. 네트워크 바이러스의 목적 네트워크 바이러스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하여 여러대의 PC를 감염시키고자 만들어지는 바이러스이다. 네트워크 바이러스는 감염된 PC와 동일한 위치(IP대역)의 PC를 모두 감염시키고자 하며 이렇게 감염된 PC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를 공격(좀비PC를 이용한 DDOS공격)하거나 특정 정보를 빼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2. 네트워크 바이러스의 감염 경로 보통의 바이러스 감염 경로는 인터넷과 같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PC가 특정 파일을 실행하거나 특정 서버에 접속하면서 감염이 된다. 하지만 네트워크 바이러스는 컴퓨터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포트가 감염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특히 HTTP나 Telnet, SSH, FTP, SMB 서비스를 하는 서버는 더욱 감염이 손쉽게 이루어질..

Diary/Diary 2009.03.13

악플러, 조사하면 다 나와! - 2

CASE 2: 고정IP 전체와 글을 남긴 시간을 통해 접속자를 확인하는 예 인터넷상의 투표나 댓글의 신빙성이 떨어지고 있다. 속칭 ‘알바’ 동원으로 인한 결과의 조작이나 경쟁사에 대한 비방글을 올리다 IP확인으로 망신을 당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같은 IP라는 번호체계를 사용하는데 확인 과정을 통하여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때로는 유동IP보다 고정IP 사용자의 확인이 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는 한정된 공인IP개수를 활용하기 위하여 NAT (사설망, 일반가정의 인터넷공유기와 유사)환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한 개의 고정IP는 적게는 수대에서 많게는 수백, 수천 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21.130.X.102가 고정IP이고 특정 회사에 소속 되어있다고 가정하..

Diary/Diary 2009.03.12

악플러, 조사하면 다 나와! - 1

악성댓글이 인한 여러 가지 사건으로 인해 사회적, 정치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특히, 익명성 보장과 자기가 쓴 글에 대한 책임감 사이에서 갑론을박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익명성을 존중하자니 너무나 무책임한 글들이 마구잡이로 올라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실명인증이나 사이버모욕죄를 적용하자니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사실, 성숙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자정 능력이 가장 필요하지만 그 전까지는 자기가 올린 글에 대한 책임감의 표현으로 개인 정보를 일정 부분 남기는 것이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어주는 울타리가 아닌가 한다. 여러 사이트들에 글을 남길 때 자신의 IP가 남겨지는 것에 대하여 걱정하는 분들이 많이 있다. 댓글에 남겨진 접속자의 최소정..

Diary/Diary 2009.03.12